사랑니 클리닉

사랑니는 사랑을 느끼는 나이인 19~21세쯤에 난다고 하여 “사랑니”로 불리고 있습니다.
보통 위턱2개 아래턱2개로 모두 4개의 사랑니를 가지고 있으나, 현대에 들어서 예전 사람들에 비해 턱뼈가 작고
치아 보철술의 발달로 어금니 상실률이 적어지게 되면서 나와야 할 치아가 나오지 못해 턱 뼈 속에 묻히게 되는 경우가 많아 졌습니다.
사랑니 자체가 없는 경우도 있습니다.

사랑니는 똑바로 자라지 못하고 잇몸 속에 누워 다른 치아에 영향을 주기도 합니다.
어금니 맨 뒤에 위치해 칫솔이 잘 닿지 못하면서 잇몸염증이 자주 발생하며, 또한 음식물이 끼고 충치가 진행되면서
인접 치아의 신경 치료 및 크라운 수복이 필요할 수 있는데 상태가 심각한 경우 발치를 해야 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 사랑니가 잇몸 속에 누워 인접치아가 깨지고 충치가 발생하여 심한 통증으로 내원한 환자

사랑니 발치는 일반 진료가 아닌 외과 수술입니다. 사랑니는 치아 모양과 방향 모두 제 각각 이기 때문에 턱 주변 조직과 치아 뿌리의 방향,
신경관 위치 등을 모두 고려해야 하는 고난이도 진료입니다.

  • 사랑니가 잇몸 속에 누워 자란 경우 주변 신경관에 영향을 줄 수 있어 충분한 노하우로 안정적으로 발치를 해야합니다.

매복된 사랑니 견인 사랑니 교정

아래쪽 사랑니 두개가 심하게 누운 상태로 내원, 오른쪽 사랑니는 인접치아를 누르고 있고 왼쪽 사랑니는 음식물이 잘끼고 가끔 염증이 생긴다고 합니다.
보통 사랑니는 발치를 하지만 인접 치아가 결손되어 있는 경우, 고운미소에서는 매복된 사랑니를 치아교정으로 견인하여
발치 하지 않고 자연치아를 보존하였습니다.

  • 심하게 누운 사랑니

  • 치아 교정으로 쓰러진 사랑니를 바로 세움.

  • 치아 교정으로 사랑니 전방 이동

구강외과 교정과 협진 사랑니 복합치료

26세 여환으로 우측 아래 어금니 매복으로 다른 치과에서는 어금니 2개를 모두 발치 해야 한다는 진단을 받고 내원.
환자분이 매복된 치아를 꼭 살리고 싶다고 하여 사랑니는 발치를 하고 매복되어 있는 치아는 교정으로 견인 하기로 함.
구강외과 협진으로 안정적으로 사랑니를 발치하고 치아교정을 진행하였습니다.

  • 어금니와 사랑니가 수평매복되어 있는 상황

  • 사랑니 발치 후 매복된 치아 견인

  • 교정 후 치조골 또한 온전하게 재생됨

구강외과 협진- 사랑니를 발치 한 이유는 매복치아를 발치 할 경우 다량의 뼈를 제거해야 하고
그로 인하여 아래턱뼈가 약해질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했기 때문입니다.

  • 백석기 대표원장
  • 김현희 원장
  • 백석기 대표원장
    반갑습니다. 언제나 한결같이 과장되지 않은 치의학을 바탕으로 고객중심의 치료와 상의를 드리는 여러분의 가족이 되겠습니다. 고운미소치과의 인연에 감사드리며, 클리닉을 넘어 삶에 있어 의미있는 관계가 되도록 항상 노력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약력
    • 학술활동
    • 논문발표
    • 치의학 박사
    • 연세대학교 치과대학 및 대학원
    • 연세대학교 치과대학병원 구강악안면외과 인턴, 레지던트
    • 연세대학교 치과대학병원 구강악안면외과 외래교수
    • 국군강릉병원 치과부장
    • 이화여자대학교 목동병원 치과 구강외과 전임의
    • 대한 구강악안면외과학회 정회원
    • 대한 악안면성형재건외과학회 인정의 및 평생회원
    • 대한 구강악안면임플란트학회 정회원 및 우수회원
    • 대한 치과마취과학회 정회원

    [ 구연발표 ]

    • 1996년 대한구강악안면외과학회' Ameloblastic fibroma'
    • 1998년 대한구강악안면외과학회'골격성 개교증의 유형에 따른 수술방법의 선택에 관한 연구'
    • 1998년 대한구강악안면외과학회'악관절원판 천공환자의 임상적고찰'
    • 2003년 구강악안면성형외과학회'소타액선에 발생한 다형성선종의 임상 및 병리학적 고찰

    [ 포스터발표 ]

    • 2010년 구강악안면외과학회 '입술형성 과정 중 상피의 소멸에서 O-GluNAc 당화의 기능'
    • 1998년 '악관절원판 천공환자의 임상적고찰' 대한구개하악장애학회지 논문게재
    • 1999년 '잘 낳지 않은 치주염의 원인이 된 만기 잔존치근' 대한치과의사협회 논문게재
    • 2003년 '소타액선에 발생한 다형성선종의 임상 및 병리학적 고찰' 구강악안면성형외과학회지 논문게재
    • 2010년 '입술형성 과정 중 상피의 소멸에서 O-GluNAc 당화의 기능' 구강악안면외과학회지 논문게재
  • 김현희 원장
    안녕하세요 고운미소치과 원장 김현희입니다. 항상 환자분들 입장에서 생각하며 최선, 최고의 진료를 받으실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 약력
    • 논문발표
    • 연세대학교 치과대학 및 대학원
    • 연세대학교 치과대학병원 보존과 인턴, 레지던트
    • 연세대학교 치과대학병원 보존과 외래교수
    • 대한 치과 보존학회 정회원
    • 대한 근관치료학회 정회원
    • 대한 심미치과학회 정회원
    • 한국 치아미백연구회 정회원
    • 대한치과보존학회지에"리본형태의 근관에서의 열연화 근광충전법의 비교 " 논문 게재
  • 상담신청